상담과정 및 분석 유형
- 1단계 : 계약
- 2단계 : 구조 분석
- 3단계 : 교류분석
- 4단계 : 게임 분석
- 5단계 : 각본 분석
- 6단계 : 재결단
교류분석 이론 (Transactional Analysis, TA)은 미국 정신과 전문의인 에릭 번 (Eric Berne)에 의해서 소개된 심리치료 기법이자 상담이론으로 인간의 자아를 부모자아 (어버이 자아), 어른자아 (성인 자아), 어린이자아 (아동 자아)로 나누어 사람들 사이에서 어떻게 교류하는 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한 후 상황에 따라 3가지 자아가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 상담방법입니다.
1단계
- 계약 : 다른 상담에서는 볼 수 없는 계약을 통해 상담의 목표, 상담 단계 및 조건에 대해 구조화하여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자유와 책임을 분명히 합니다.
2단계
- 자아의 구조 분석 (Structural Analysis) : 내담자의 부모 자아, 어른 자아, 어린이 자아를 분석하여 현재 자신의 자아상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내담자가 문제행동을 할 때 스스로 자기 행동의 기초가 되는 자아상태를 발견할 수 있도록 자아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을 가르쳐줍니다. 상담자가 구체적인 자아구조분석과 교류분석을 제시하여 혼자서도 자신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자율적인 인간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알려줍니다.
듀세이 (Dusey) 부부의 자아기능 그래프 (Egogram)을 활용하여 내담자가 어떤 자아기능에 어느 정도로 에너지를 투입하는지 분석하고 내담자의 자아상태에 혼합 또는 배타 현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때 혼합 (오염)은 한 가지 자아상태가 다른 자아상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경우를 말하고 배타 (배제)는 한가지 자아가 너무 비대하여 다른 두 가지 자아가 기능하지 못하도록 배제시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3단계
- 의사 교류분석 (Transactional Analysis) : 자아 구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내담자가 타인과 의사소통을 할 때 나타나는 3가지 교류 유형 상태를 파악하고 의미와 유형을 이해시켜 다른 사람과 효율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1) 상보적 교류 (Complementary Transaction) : 대화의 발신자가 기대하는 대로 수신자가 응답해오는 교류로써 기대한 교류가 저지당하지 않기 때문에 대화를 지속할 수 있는 유형을 말하며 보완적 교류라고도 합니다.
예문) 발신자: 아빠는 날 사랑해?, 수신자: 그럼~우리 딸~ 정말 사랑하지~
2) 교차적 교류 (Crossed Transaction) : 발신자가 기대했던 대답이 아닌 예상 밖의 응답이 올 때 일어나는 교류형태로 수신자가 발신자의 기대대로 응답해 오지 않아 대화가 중단되는 유형입니다.
예문) 발신자 : 혹시 이 길을 따라가면 여의도역이 나오나요?, 수신자 : 제 짐좀 들어주실래요? 너무 무거워서요.
3) 이면적 교류 (Ulterior Transaction) : 표면상으로는 상보적 교류나 교차적 교류 유형으로 보이지만 각자 다른 심리적 메시지를 보내며 말한 내용 외 속뜻이 숨겨져서 전달되는 교류 유형으로 위장된 의사소통, 암시적 교류, 저의적 교류라고도 합니다.
예문)
- 표면상 교류
발신자 : 엄마~ 저 스터디카페가서 공부하고 올게요~
수신자 : 그래~ 늦지 않게 집에 와~
- 이면적 교류
발신자 : 엄마~ 저 스터디 카페 가서 공부하고 (친구들이랑 놀다가) 올게요~
수신자 : 그래~ 늦지 않게 집에 와 (친구들이랑 놀 생각 말고 일찍 들어와!)~
4단계
- 라켓 & 게임분석 (Racket & Game Analysis) : 라켓은 내담자가 라켓 감정 (Racket Feelings)을 느끼게 하는 조작된 행동을 의미하는데, 자신의 진정한 감정을 느끼고 본인의 의사를 표출하는 대신 부모가 허용한 감정만 표현하는 감정을 라켓감정 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라켓 감정을 유발하는 이면적 교류를 게임이라고 표현했으며 내담자에게 라켓 감정과 라켓게임을 깨닫도록 도와 부정적인 자아상태에서 긍정적인 자아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그 의미와 유형을 이해시키는 과정입니다.
5단계
- 생활 각본 분석 (Script Analysis) : 생활각본은 어린 시절의 결단에 근거한 삶의 계획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생애 초기에 내담자가 경험했던 외적 상황에 의해 형성된 반응 양식으로 보통 어린 시절에 부모의 금지명령에 대한 반응에서 비롯되고 주요 줄거리는 7세 이전에 거의 완성된다고 봅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생활각본을 분석하여 자율성을 저해하는 자기 제한적 각본신념을 확인하고 변화시켜 효율적인 신념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6단계
- 재결단 : 내담자의 생활각본을 변화시키는 상담의 마지막 단계를 말합니다.
스트로크 (stroke) 종류
※ 스트로크 뜻 : 스트로크는 스포츠에서 1회의 타격이나 동작을 의미하는 단어로 교류분석 상담에서는 사람의 표정, 태도, 감정, 언어, 악수, 서로 껴안기 등의 여러 형태의 행동을 통해 타인에게 나의 반응을 알리는 인간 인식 (recognition)의 기본단위로 사용하며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는 자극을 말합니다.
- 긍정적 스트로크 : 스트로크를 받는 수신자에게 기쁨, 즐거움 등의 긍정적인 좋은 감정을 경험하게 하는 것입니다.
- 부정적 스트로크 : 수신자에게 고통이나 피곤함 같은 부정적인 나쁜 감정을 경험하게 하는 것입니다.
- 조건적 스트로크 : 우리가 어떤 행위를 하느냐와 관련 있는 스트로크로 심부름을 해줘서 고맙다, 부탁을 잘 들어줘서 좋다 등처럼 무엇을 했다는 조건에 대한 반응을 말합니다.
- 무조건적 스트로크 : 인간 존재 자체에 대한 반응을 말합니다.
- 언어적 스트로크 : 단어에서부터 완전한 형태의 대화까지 모든 것을 언어로 전달하는 스트로크를 말합니다.
- 신체적 스트로크 : 악수를 하거나 머리를 쓰다듬거나 하이파이브를 하는 등 직접적인 신체접촉에 의한 스트로크를 말합니다.
- 플라스틱 스트로크 (마시멜로 던지기, marshmallow-throwing) : 긍정적이지만 진지함이 없고 과장된 스트로크입니다. 예) 당신이 오시니 회사가 빛이 나네요 정말 감동입니다 와우~
- 거짓 스트로크 (가짜 스트로크, Counterfeit) : 표면상 긍정적 스트로크인 것 같지만 진지함이나 성의가 없고 긍적자극으로 시작해서 결국 부정 자극으로 끝나는 스트로크입니다. 예) 너는 참 똑똑해, 창의력은 없지만~
- 자가 스트로크 (Self stroke) : 자기 자신에게 칭찬을 해주는 것과 같이 스스로에게 주는 스트로크입니다.
교류분석 4가지 생활자세
- 자기긍정 타인긍정
- 자기긍정 타인부정
- 자기부정 타인긍정
- 자기부정 타인부정
교류분석 이론에서는 인간은 어린 시절 경험에 의해 세상에 대한 생활자세를 결정한다고 봅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최초로 표현하였을 때 부모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따라 아이는 반응을 결정하게 되고 그 결과들이 한 사람의 생활 각본 즉, 인생태도를 결정한다고 하였습니다.
1. 자기긍정-타인긍정 (I'm OK, You're OK) : 자신과 타인의 가치를 상호 존중하며 건설적이고 전향적인 인생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자신과 다른 사람의 존재의 의미를 충분히 인정하고 사물을 건설적으로 대하며 정신적, 신체적으로도 건강한 가치관을 지니고 있습니다.
2. 자기긍정-타인부정 (I'm OK, You're not OK) : 나는 잘났고 너는 별 볼일 없는 사람이야 처럼 다른 사람의 가치를 부정하고 무시하거나 자신의 문제를 남의 탓으로 돌리며 불평하고 화를 내는 유형의 사람입니다. 자신은 있지만 배타적인 성향이라 타벌적 인생관을 지니고 있습니다.
3. 자기부정-타인긍정 (I'm not OK, You're OK) : 나는 별 볼일 없는 사람이지만 너는 잘났어라는 입장으로 자신을 타인과 비교해서 스스로 열등감이나 무력감, 우울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억압된 사람들의 생활자세입니다.
4. 자기부정-타인부정 (I'm not OK, You're not OK) : 나도 별로 너도 별로 모두가 다 별로, 자신과 타인 모두를 믿지 않는 비관적 삶의 태도를 지닌 사람들입니다. 희망이 없다고 생각하거나 쉽게 포기하고 사람에 대한 흥미도 잃어버렸으며 인간은 가망성이 없는 존재라는 비건설적인 인생관을 지니고 있습니다.
'Fun 심리학 > 유익한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2급 특성요인이론 장단점과 특징, 파슨스 윌리엄슨 브레이필드 달리 (0) | 2022.11.23 |
---|---|
현실치료 윌리엄 글래서 WDEP 체계, 우볼딩 SAMIC3 plans, 에드워드 드 보노 6개의 생각하는 모자 (0) | 2022.11.20 |
아론 벡 (Aron T. Beck)의 인지치료, 10가지 인지적 오류와 상담기법 (0) | 2022.11.17 |
칼 로저스 (Carl Rogers) 인간중심상담, 가치조건화와 자기실현 경향성 (2) | 2022.11.16 |
교류분석 에릭 번 (Eric Berne)의 3가지 자아와 상담 목적 (0) | 2022.10.13 |
게슈탈트 (Gestalt), 프리츠 펄스 (Fritz Perls)의 형태주의 심리학 인간관과 5가지 상담기법 (0) | 2022.10.12 |
실존주의 빅터 프랭클, 롤로 메이, 어빈 얄롬 심리 상담 이론 (0) | 2022.10.12 |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정신건강을 위한 인지재구성 abcde 모형과 앨버트 엘리스 생애 (0) | 2022.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