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치료 (Reality Therapy, RT)
윌리엄 글래서 (William Glasser)는 내담자의 '과거'를 중시했던 전통적인 상담방법에서 벗어나 내담자의 '현재' 즉, 그 사람의 지금 행동과 책임감을 강조하는 상담기법을 고안하였는데 이를 현실치료라고 합니다.
WDEP 체계
Want (욕구, 바람)
내담자의 욕구가 무엇인지, 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바람이 무엇인지 그 바람들의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상담자는 여러 가지 숙련된 질문을 통하여 내담자의 우선순위를 정하게 합니다.
Doing (행동)
내담자가 자신의 바람을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지 스스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Evaluation (평가)
내담자가 하고있는 행동이 자기만족을 위해서 현실적으로 적절한 행동인지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lanning (계획)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와 바람을 더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보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현실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른사람의 욕구를 침범하지 않고 자신의 행동을 주도적으로 선택하여 책임을 질 수 있도록 상담자가 도움을 주는 과정이며 경미한 정신적 혼란을 겪는 사람부터 심각한 정신과 질환이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에 이르기까지 적용될 수 있는 치료기법입니다.
현실치료의 특징
- 현재에 중점을 둠
- 책임감과 도덕성 강조
- 자율성과 합리성 강조
- 스스로 계획수립 및 평가
SAMIC3 plans 는 실천계획의 효율적인 달성을 위해 우볼딩 (R. Wubbolding)이 제시한 효과적인 계획의 7가지 구성요소입니다.
SAMIC3 plans
Simple
복잡한 계획은 수행되기 힘들기 때문에 단순해야 한다.
Attainable
계획은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해야 한다.
Measurable
계획은 구체적이고 정확해서 측정 가능해야 한다.
Immediate
계획은 가능한 한 빨리, 즉시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Controlled
계획은 다른사람이 하는 것에 의존하지 않고 계획자에 의해서 통제되어야 한다.
Consistent
가장 훌륭한 계획은 정규적인 근거로 반복되며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Committed
계획은 이행하겠다는 언약이 있어야 하며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수행되어야 한다.
1985년 에드워드 드 보노 (Edward de Bone)는 의사결정을 할 때 6가지 색깔의 생각하는 모자를 사람들에게 써보도록 하여 의사결정 촉진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였습니다.
생각을 할 때 감정이나, 정보, 독창성, 논리 등을 분류해서 한 번에 한 가지 생각만을 하도록 하여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의사결정을 위한 사고를 체계화하여 복잡한 상황이나 다른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상황을 다양한 방법으로 보고 전략 수립을 하거나 아이디어를 내는데 도움을 주는 기법입니다.
6가지 생각하는 모자
흰색 모자 (백색) : 백색모자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시선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방법을 알려주며 객관적으로 확실한 사실들 만을 고려하여 분석하고 가진 정보를 비교합니다.
빨강 모자 (적색) : 자신의 직관에 의존해서 직관에 따라 행동하여 자유로운 주관성을 갖도록 도움을 줍니다.
노랑 모자 (황색) : 건설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를 반영한 모자로 낙관적이며 모든 일이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검정 모자 (흑색) : 비판적이며 부정적인 사고를 반영한 모자로 어떤 생각이 왜 잘못되었는지, 왜 다른 결과가 나오는지 알려주며 비판적인 시선으로 부정적인 측면을 볼 수 있도록 해 조금 더 현실적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녹색 모자 : 어떤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게 하여 새로운 대안들을 찾아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사고방식입니다.
파랑 모자 (청색) : 새로운 전략을 제안하고 조절하고 통제하는 사회자로서의 역할을 반영하며 체계적인 사고를 상징합니다.
글래서의 선택이론
윌리엄 글래서는 인간행동이 주변 환경이나 어떤 힘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행동과 정서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질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며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은 우울하기 라는 고통을 선택한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그 누구도 우리에게 우리가 원하지 않을 것을 하게 할 수 없으며 내가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하느냐를 직접적으로 통제할 수 있고 나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은 우리 자신이라고 했습니다.
인간이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할 때 개인적 자유를 새롭게 정의하기 시작하며 생각보다 훨씬 많은 자유를 가지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선택이론에 기반한 현실치료는 내담자가 자기 행동에 대한 가치판단과 자기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획득하고 책임질 수 있는 행동을 하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인간의 5가지 기본욕구
- 생존 (physical survival)
- 사랑과 소속 (belonging)
- 힘 (power)
- 자유 (freedom)
- 재미 (fun)
윌리엄 글래서는 인간에게는 자신을 성장시키려는 힘 (Growth power)이 있기 때문에 행동변화가 가능하고 자기 결정 (self-determining)이 가능한 존재이기 때문에 자라온 과거 환경이나 유전적인 면보다는 자기 자신에 의해서 행동이 결정되는 면이 크다고 보았습니다.
그렇기에 사람은 자신과 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존재이며 스스로의 행동과 자신에 대하여 전적으로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라고 하였으며 성공적인 정체감 (identity)를 발전시킬 수 있는 존재라고 보았습니다.
2022.09.28 - [심리학] - 정신분석이론 인간관과 의식수준,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정신분석이론 인간관과 의식수준,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Sigmund Freud,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심리학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20세기 인류에게 광범위한 영향을 준 이론입니다. 당시 지배적이었던 인간에 대한 견해와 크게 대립
doremi-life.com
2022.10.12 - [심리학] - 실존주의 빅터 프랭클, 롤로 메이, 어빈 얄롬 심리 상담 이론
실존주의 빅터 프랭클, 롤로 메이, 어빈 얄롬 심리 상담 이론
실존주의 심리 상담 이론 실존주의는 한두 사람의 창시자에 의해서 개발된 단일 체계의 이론이 아니라 철학, 신학, 교육학, 정신의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달된 이론입니다. 소크라테
doremi-life.com
'Fun 심리학 > 유익한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2급 꼭 외워야 할 직업상담학 기초 이론과 실기 기출문제 예시 (0) | 2022.11.30 |
---|---|
Crites 크라이티스 진단검사와 포괄적 직업상담 7가지 문제유형, 우유부단 다재다능 미적응형 비현실형 (0) | 2022.11.27 |
Bordin 보딘의 상담기법,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이론의 인간관과 변별진단 5가지 (0) | 2022.11.24 |
직업상담사2급 특성요인이론 장단점과 특징, 파슨스 윌리엄슨 브레이필드 달리 (0) | 2022.11.23 |
아론 벡 (Aron T. Beck)의 인지치료, 10가지 인지적 오류와 상담기법 (0) | 2022.11.17 |
칼 로저스 (Carl Rogers) 인간중심상담, 가치조건화와 자기실현 경향성 (2) | 2022.11.16 |
교류분석 이론 상담 과정, 분석 유형, 스트로크 종류 및 4가지 생활자세 (0) | 2022.10.17 |
교류분석 에릭 번 (Eric Berne)의 3가지 자아와 상담 목적 (0) | 2022.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