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un 심리학/유익한 심리학

행동주의 이론 7가지 상담기법, 체계적 둔감법 모델링 조형 토큰법 혐오기법

by 레미 언니 2022. 10. 6.
728x90
반응형

▣ 행동주의 이론의 7가지 상담기법


1. 체계적 둔감법 (Systematic Conditioning)

월피 (J. Wolpe)에 의해 고안된 체계적 둔감법은 내담자가 두려운 상황을 마주했을 때 느꼈던 불안감을 이완반응으로 대체하는 상담기법으로 체계적둔감화, 단계적둔감법, 점진적 둔감법 등으로 불립니다. 어떤 상황에 대해 두려움을 유독 많이 느끼는 내담자에게 불안을 발생시키는 상황들을 상상하게 하고 불안과 양립할 수 없는 이완을 연합시켜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학습시키는 행동주의 이론의 대표적인 상담기법입니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이라는 과학적 실험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기법으로 불안과 공포증이 있는 내담자에게 그로 인한 회피행동이나 부적을 행동을 소거시키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행동주의 상담과정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임상적 기법입니다.  

 

체계적 둔감법의 3단계 진행순서


1) 근육 이완훈련 

근육이 이완된 상태에서는 불안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한 훈련방법으로 내담자가 신체 근육의 긴장이 풀릴 수 있도록 근육이완법과 호흡법 등의 이완 방법을 집중적으로 가르칩니다.  손과 팔 근육의 긴장을 이완하는 것을 시작으로 머리, 어깨, 목, 가슴, 몸통, 다리 순서로 진행하며 점진적인 훈련을 통해 긴장을 풀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불안 위계 목록 작성

내담자에게 공포를 유발하는 요인들의 위계목록을 작성하게 합니다. 지각된 위협에 대해  10가지~20가지 정도를 작성한 후 두려움을 적게 느끼는 상황부터 가장 많이 느끼는 상황까지 순서대로 배열하게 합니다. 

3) 불안 위계 목록에 따른 둔감화

눈을 감고, 최소의 스트레스 장면부터 상상하게 합니다. 불안수위를 점점 높여가면서 상상하게 하고 불안을 느끼게 되면 신호를 하게 합니다. 신호가 있으면 상상하는 것을 중단시키고 근육 이완훈련을 합니다. 불안 위계 목록의 모든 불안이 완전히 소거될 때까지 체계적으로 반복하면서 최고 수준 목록에서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상상할 수 있으면 상담을 종료합니다. 최근에는 상상을 통한 심상 기법 외에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기술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2. 자극홍수법 (Flooding)

공포증 뿐만 아니라 강박증, 신체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신경성 식욕부진 등 여러 가지 정신장애 환자에게 활용할 수 있는 상담기법으로 나쁜 습관들을 자극의 기능이 마비되거나 쾌락적 가치를 상실할 때까지 자극을 홍수처럼 퍼붓는 방법이라고 해서 자극홍수법 이라고 불립니다.

 

공포를 느끼는 대상을 의도적으로 오랜 시간 집중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원인이 되는 불안을 없애는 행동주의 상담방법으로 자극과 반응의 순서를 없애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3. 역조건형성 (Counterconditioning)

부적응적인 조건반응을 없애는 방법으로 불안의 원인에 바람직한 자극을 제시하여 불안을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원인이 되는 불안을 압도적으로 역전시킬 만큼 긍정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무조건 자극을 짝지어 새로운 반응을 만들어내는 상담기법입니다. 

4. 혐오 기법 (Aversive Techniques)

역조건형성의 일종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화학물, 시청각 자료, 자극통제, 타임아웃, 과잉교정 등의 혐오 자극을 제시함으로써 문제가 되는 부적응적인 행동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과잉교정은 문제행동이 심하게 일어날 때 효과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일으킨 행동의 결과를 원래대로 되돌릴 때까지 특정 행동을 지나칠 정도로 반복시켜 올바르게 행동하도록 행동을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음식물을 흘렸다면 흘린 음식만 치우는 것이 아니라 바닥 전체를 닦게 하는 것이 과잉 교정입니다. 

타임아웃은 10분 이내의 짧은 시간을 설정해서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며 내담자가 문제행동을 했을 때 긍정적 강화를 받을 기회를 박탈하는 방법입니다.

자극 통제는 내담자의 환경을 수정하게 함으로써 반응이 되는 자극을 통제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다이어트 중인 내담자에게 맛있는 음식을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두거나 손이 잘 가지 않는 곳에 두도록 하는 것도 자극통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모델링 (Modeling)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모방하여 학습을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내적인 행동변화를 촉진시키는 인지적 행동치료기법 중 하나로 상담자가 모델이 되어 시범을 보인 후 내담자가 반복수행하는 것을 인지적 모델링이라고 합니다. 내담자가 직접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도록 스스로에게 말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훈련입니다. 

6. 조형 (Shaping)

조형은 스키너가 다양한 목표 반응을 정하고 단계적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반응을 만들어 내는 데 사용한 훈련기법으로 효과의 법칙에 기반을 두어 현재는 하지 못하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반응을 학습시키는 방법입니다. 

7. 토큰경제 (Token Economy)

바람직한 행동 목록을 정하고 그 행동이 이루어지면 토큰을 제공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강화하려고 하는 목표 행동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합당한 행동을 했을 때 공정하고 일관성 있는 방식으로 명확하게 보상을 하여 올바른 행동을 유도하는 상담기법으로 토큰법, 상표제도 라고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