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증세 감소를 위한 내적 외적 행동수정 촉진 기법 13가지
행동주의 학파는 내담자의 이상행동의 원인은 부정적인 자극을 학습해서 발생한 것으로 보았고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문제의 원인은 인간의 내적 불안에 의해 발생한 문제라고 보았습니다.
그렇기에 내담자의 내적 불안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 부정적 자극 대신 긍정적 자극을 학습시켜 외적 행동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의사결정 기술을 익히게 하고 이상행동을 수정하거나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습니다.
행동주의 심리학에 의한 상담기법은 내담자의 문제가 무엇인지에 따라 개개인별로 적절한 상담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상담자마다 독특한 방식으로 진행되어 다양한 상담기법이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중에서도 행동수정 기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조셉 월피 (Joseph Wolpe, 1915~1997)가 고안한 체계적 둔감화 상담기법입니다.
▣ 내적 행동수정 기법
1. 체계적둔감화
체계적 둔감화는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임상적 기법으로 내적 행동변화를 촉진시키는 대표적인 상담방법입니다.
내담자에게 먼저 신체 근육의 긴장을 풀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불안 목록을 상상할 때 겪게 되는 불안감과 두려움을 스스로 줄일 수 있도록 훈련시킵니다. 이후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을 정도가 약한 것부터 강한 것까지 순서대로 적게 합니다. 스트레스가 약한 상황부터 강한 상황까지 차례대로 상상하게 하고 불안을 느끼게 되면 상상을 중단한 후 근육이완을 통해 불안감을 감소시킵니다. 최고 단계의 스트레스 상황까지 단계적으로 상상하고 불안이 완전히 소거될 때까지 반복하는 것이 체계적 둔감화입니다.
※ 체계적둔감화 3단계 절차
근육이완 훈련 → 불안 위계 목록 작성 → 둔감화를 통한 불안 감소
2. 인지적 재구조화
내담자의 부정적인 자기 패배적 사고를 긍정적인 자기 발전적 사고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입니다.
어떤 사고나 상황에 의해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자신의 인지를 확인하고 평가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자기 향상적인 사고로 대체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자신의 부정적인 사고를 긍정적인 사고로 바꿀 수 있다는 믿음을 전제로 사고를 재구조화시키는 인지적 행동수정기법 입니다.
3. 사고정지
자기패배적이고 비생산적인 생각을 계속하는 내담자에게 생각하는 것을 멈추게 하여 부정적 인지를 억압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스스로 본인의 사고와 마음을 통제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내적 행동수정 방법으로 사고 정지, 사고중지 기법이라고 합니다.
사고 정지 훈련은 아직 일어나지 않았거나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일에 대한 생각으로 심각하게 걱정을 하고 있는 내담자나 이미 일어나서 돌이킬 수 없는 과거의 사건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과거 상황을 계속 고심하고 있는 내담자에게 적합한 내적 행동치료기법입니다.
4. 자기 교수 훈련 (Self-instruction training)
자기교수훈련법은 내담자가 본인의 행동을 누군가가 말해주는 것에 일치시키는 것을 배우고 그 후 스스로 말을 하면서 말과 행동을 일치시키는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어떤 상황에서 혼잣말을 사용하도록 가르쳐 불안을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자기교수 훈련은 인지행동치료의 대표적인 기법으로 스스로에게 말하는 방법을 가르쳐 내담자가 직접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상담자가 먼저 모델이 되어 시범을 보인 후 내담자에게 반복적으로 따라 하게 하는 인지적 모델링 기법으로 인지적 자기 안내, 언어적 자기 중재, 언어적으로 중재된 자기 조절, 혼잣말 이라고도 합니다.
5. 스트레스 접종
독감에 걸리지 않기 위해 독감 예방 접종을 맞는 것처럼 예상할 수 있는 신체적이나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대해 미리 긴장을 약화시키는 연습을 하여 불안의 근원에 대한 저항력을 키우고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스트레스 상황을 다룰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내적 행동수정 방법입니다.
▣ 외적 행동수정 기법
1. 토큰법
상표제도, 토큰경제라고도 불리는 토큰법은 적절한 행동을 할 때마다 보상으로 원하는 물건이나 권리와 바꿀 수 있도록 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원리를 적용한 기법입니다.
2. 대리 학습 (모델링)
관찰학습, 사회학습, 모방, 모델링 이라고도 불리는 대리 학습은 내담자가 직접 행동해서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행동하는 것을 관찰하고 모방하여 따라 함으로써 원하는 행동을 학습하도록 하는 외적 행동수정 기법입니다.
3. 행동계약
미리 합의하고 정해놓은 행동을 지키도록 하는 방법으로 두 사람이나 그 이상의 사람들이 서로 정해진 기간에 각자 해야 할 일들을 분명하게 약속하고 그 내용을 지키기로 계약을 맺는 기법입니다.
4. 주장 훈련
직접 행동 시연을 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유도하는 훈련으로 내담자의 대인관계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외적 행동수정 기법입니다. 주장훈련의 목적은 타인과 관계 시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 공포를 느끼지 않고 불안 외의 감정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필요한 태도와 대화의 기술을 갖추도록 하는 것입니다.
5. 역할연기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실제로 연기해보면서 새로운 역할을 경험해보는 방법으로 일상생활에서 수행하기 곤란한 행동 때문에 나타나는 부적응적인 행동을 적응적 행동으로 바꾸도록 도와주는 행동치료기법입니다. 내담자가 현실적인 장면이나 극적인 장면을 통해 역할 연기를 반복적으로 시연하게 하여 감정표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6. 혐오치료
불안의 원인과 함께 긍정적인 자극을 제시하여 불안을 감소시키는 역조건형성의 일종으로서 문제행동을 할 때 혐오스러운 자극을 제시하여 부적응행동을 제거하는 외적 행동치료 기법으로 타임아웃, 과잉교정, 자극 통제 등이 있습니다.
7. 바이오피드백 (Biofeedback)
현대의 기술발전으로 내담자의 혈압, 심장박동수, 뇌파, 체온 등 생물학적인 정보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직접 컴퓨터 화면으로 보여주면서 불안반응이 있을 때 자신의 신체 변화를 확인하도록 하여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8. 자기관리 프로그램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의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며 자기강화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조정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본인의 노력을 통해 행동을 수정하고 행동의 결과를 조정하며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행동수정 방법입니다.
'Fun 심리학 > 유익한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슈탈트 (Gestalt), 프리츠 펄스 (Fritz Perls)의 형태주의 심리학 인간관과 5가지 상담기법 (0) | 2022.10.12 |
---|---|
실존주의 빅터 프랭클, 롤로 메이, 어빈 얄롬 심리 상담 이론 (0) | 2022.10.12 |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정신건강을 위한 인지재구성 abcde 모형과 앨버트 엘리스 생애 (0) | 2022.10.08 |
REBT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앨버트 엘리스 비합리적 신념과 3가지 당위성 예문 (0) | 2022.10.07 |
행동주의 이론 인간관과 상담 목적 특징 장단점 (0) | 2022.10.07 |
행동주의 이론 7가지 상담기법, 체계적 둔감법 모델링 조형 토큰법 혐오기법 (0) | 2022.10.06 |
개인심리학 8가지 상담기법, 스프에 침 뱉기 단추 누르기 알프레드 아들러 (0) | 2022.10.05 |
개인심리학 6가지 주요 개념, 알프레드 아들러 (Alfred Adler) 생활양식과 인생과제 (0) | 2022.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