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un 심리학/유익한 심리학

정신분석이론 불안의 유형과 11가지 방어기제, 지그문트 프로이트

by 레미 언니 2022. 10. 3.
728x90
반응형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정신분석이론 불안 (Anxitey)과 방어기제 (Defence Mechanisms)

 

정신분석 (Psychoanalysis)에서는 인간의 행동, 사고와 감정이 심리적인 원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합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문제적 행동이나 갈등은 내부에 존재하는 정신적인 원인이 작용한 결과이기 때문에 그 원인이 제거되어야 문제가 해결된다고 보았습니다.

 

 

인간의 성격은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구성되는데 개인이 심적 에너지를 통제하지 못하고 원초아와 자아 초자아 간의 갈등이 생기면 생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모든 상황에 대해 불안을 일으킵니다.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인간 불안의 유형을 크게 3가지로 나누었습니다. 

 

▶ 프로이트 불안의 3가지 유형

  1. 현실적 불안
  2. 신경증적 불안
  3. 도덕적 불안

 

사람이 본인의 내면이 아닌 외부세계에서 실제적인 위협을 지각함으로써 발생하는 감정적인 불안을 현실적불안이라고 합니다. 실질적인 위협에 대한 두려움이며 기본적으로 공포와 유사한 특징이 있습니다. 두려움의 원인이 내부가 아니라 외부에서 왔다고 해서 객관적 불안이라고도 하며 실제 위험에 대한 두려움의 정도와 현실적불안의 정도는 비례합니다. 

 

신경증적불안은 쾌락의 원리에 지배를 받는 원초아와 현실의 원리에 지배를 받는 자아 간의 갈등에서 비롯되는 불안으로 원초아에 따라 쾌락을 탐닉하는 경우 처벌받을 수도 있다는 무의식적인 두려움을 말합니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반응을 하는 자아가 충동적인 원초아를 통제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불상사에 대한 위협을 느낌으로써 나타나는 불안의 형태입니다.

 

도덕적불안은 도덕의 원리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도덕적이고 이상적인 반응을 하는 초자아와 자아 간에 갈등이 생길 때 나타나는 불안의 유형으로 원초아의 충동을 외부로 표출하는 것이 도덕적원칙에 어긋난다는 자신의 양심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도덕적 기준에 위배되는 행동이나 생각을 했을 때 유발되며 경우에 따라 수치심을 느끼거나 죄의식에 사로잡히기도 합니다. 

 

인간이 스스로 이성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으로 불안을 통제할 수 없을 때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사용하는데 이를 방어기제 (Defence Machanisms)라고 합니다.

 

 

▶ 11가지 방어기제

반동형성, 치환 (전위, 전치), 합리화, 억압, 부인 (부정, 거부), 주지화, 투사, 퇴행, 동일시, 보상, 승화

 

 

반동형성은 본인의 무의식적인 소망이나 충동과는 반대로 행동하는 것으로 자신의 욕구가 스스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기에 정반대 되는 행동을 함으로써 의식을 감추는 행동입니다. 마음속으로는 싫어하는 사람인데 친절하게 대하는 경우가 반동형성에 해당합니다. 

 

치환은 전혀 다른 대상에게 나의 감정을 발산하는 것인데 회사에서 쓸데없는 일을 자꾸 시키는 상사 때문에 화가 난 것을 집에 와서 가족들에게 화풀이를 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치환도 인간이 불안을 통제하기 위한 무의식적인 방어기제로 전위, 전치라고도 합니다. 

 

합리화는 소망과 다른 현실에 더 이상 실망하지 않기 위해 그럴듯한 이유를 들어 구실을 붙이는 것입니다. 나의 약점이나 실패를 숨기려고 하는 방어기제 입니다. 

 

억압은 프로이트가 제시하는 방어기제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의식하기에는 현실이 너무나 고통스럽기 때문에 무의식 속으로 억눌러 버리는 것입니다. 다른 방어기제의 기초가 되는 무의식적인 과정이며 부모에게 학대를 받으며 자란 사람이 그 분노를 억압하며 부모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를 억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부인은 고통스러운 사실을 의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친구의 배신을 인정하려 들지 않고 사실이 아닌 것으로 여기며 부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주지화는 감정적 갈등이나 불편한 감정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나치게 일반화하거나 추상적으로 사고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가장 친한 친구가 사고로 사망했을 때, 친구의 죽음이 받아들이기 힘들 정도로 슬프기 때문에 감정을 억누르고 모르는 사람의 이야기를 하듯이 무감각하게 이야기를 하는 경우를 주지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투사는 나의 심리적 속성이 다른 사람에게도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으로 내가 화가 난 상태에서 이야기를 하면서 나의 화남을 의식하지 못하고 상대방이 나에게 화를 낸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투사입니다. 

 

퇴행은 사람이 초기 발달단계로 후퇴하는 행동으로 동생이 생긴 언니가 갓 태어난 아기처럼 응석을 부리는 행동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동일시는 내가 실현할 수 없는 것은 타인이나 어떤 집단에서 발견하고 그들과 나를 동일하게 여기는 것입니다. 

 

보상은 나의 약점이나 실패를 다른 것으로 보충함으로써 스스로 자존심을 회복하려는 마음입니다. 보상의 예로는 선척적으로 몸이 약해 운동을 못하는 학생이 운동 대신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성적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승화는 개인의 욕구와 충동을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형태와 방법으로 발산하는 것입니다. 내면의 공격적인 충동을 태권도를 배우며 발산하고 국가대표선수가 되었다면 개인의 욕구를 승화시켰다고 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