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인지심리학이란 사람이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어떻게 얻는지, 단편적인 낱개의 정보들을 어떻게 조직화하여 지식으로 변환시키는지 또 수많은 정보를 어떻게 기억에 저장하고, 생각하고 행동할 때 저장된 기억을 어떻게 꺼내어 사용하는가를 다루는 것입니다
인지란 곧 아는 것
'앎' 의 학문
인지심리학은 '앎' 에 대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루 종일 경험하는 환경에 대한 정보가 인간의 감각기관에 입력되어 외적 표현인 행동으로 출력되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어떤 상호관계를 지니면서 사람의 마음을 구성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는 인지심리학은 사람 마음의 정보처리와 관련된 모든 고등 심리 과정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다루고 있습니다.
역사
심리학은 고대 그리스시대의 철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18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심리적 현상을 객관화하거나 대상화하고 다른 자연현상들처럼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해서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19세기 중반쯤인 1860년 Fechner는 '주관적인 지각은 왜 다른가'를 연구함으로써 객관적인 자연과학적 실험법을 사용하여 감각과 지각 같은 현상도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후 19세기 후반 빌헬름 분트 (Wundt)와 그의 제자들은 의식의 작용과 내용을 내성법 (introspect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이를 구조주의심리학이라고 하며 분트는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20세기 초반이 되면서 왓슨 (Watson)을 중심으로하는 행동주의 심리학이 등장하였습니다. 자극 제시 과정으로 자연과학적 실험법을 사용한 분트의 내성법은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며 실험방법의 엄밀성을 주장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왓슨의 행동주의 심리학은 인간이 관찰할 수 있는 현상과 행동만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같은 시기 유럽에서는 인지심리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기 시작하였는데 대표적인 학자로는 기억과 사고의 능동성을 강조한 Bartlett, 인지발달에서 인지의 과정과 구조 및 생득적인 지식을 강조한 Piaget, 문화사회적 요인을 강조한 Vygotsky가 있습니다.
시간이 흘러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입력된 내용에서 정보를 추출하고 조작하여 출력하는 컴퓨터의 정보처리 과정을 보며 심리학이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는데 컴퓨터처럼 인간의 마음도 개념화하여 정보처리체계로 인식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입니다.
1950년대 후반 Newell과 Shaw는 인지연구센터를 설립하였고 1958년 Simon은 정보처리체계를 구체적으로 개념화 하였으며 1967년 Neisser는 인지심리학이라는 제목의 책을 출간하였는데 이때부터 인지심리학이 정식으로 명명되었습니다.
연구영역
신경인지, 인지공학, 사회적인지, 정서와인지, 지각, 형태 재인, 개념적 사고, 문제 해결적 사고, 추리, 판단, 결정 지능, 창의성, 언어이해와 산출, 인지발달, 기억, 학습 등
영향과 변화
인지심리학은 심리학 각 분야의 이론과 관점을 인지적 개념과 인지적 과정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재구성하는데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인지과학 (Cognitive Science) 이라는 종합적이며 다학문적인 과학을 탄생시켰습니다.
1980대 후반 대두된 연결주의 모형은 인간의 마음을 두뇌에 유추해서 여러 가지 정보들이 동시에 처리되는 병렬 처리 (Parallel Processing) 체계로 간주하였는데, 정보처리적 인지주의가 컴퓨터를 인간의 마음에 비유하여 계열 처리 (Serial Processing) 적으로 상직을 조작하고 처리하는 정보체계로서 생각했었던 것과 차이를 보입니다.
인지심리학이 발전하면서 언어, 기억 및 주의 등에 대한 인지이론들이 뇌의 신경생물학적, 신경생리학적 연구들에 의해 그 기초와 타당성이 분석되기 시작하고 이론적인 개념들이 재구성되는 경향이 늘어났는데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전통적인 방법의 인지심리학과 신경과학이 적극적으로 연결되면서 인지신경과학이라는 학문이 탄생했다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동력학 체계 (dynamic system) 접근이 도입되면서 인지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가 시작되었고 각 종들의 인지과정들 및 발달과정을 자연선택 과정으로 설명하면서 이해하려는 진화적 인지 접근도 출현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신경과학적인 심리학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 전의 인지심리학자들이 소홀하게 다루었던 정서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이며 이론적인 연구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으며 사회적 요인들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인지심리학이 실생활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응용 인지심리학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접근방식
- 실험인지적 접근
-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 계산인지과학적 접근
인지심리학의 접근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실험 인지적 접근방식은 전통적인 심리학 실험방법에 따라 자극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행동적 반응과 인지적 반응을 살피면서 마음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려고 하는 방식입니다.
인지신경과학적 접근은 뇌의 신경적 구조와 과정을 밝힘으로써 마음의 특성을 설명하려고 하는 방식으로 뇌 손상 환자를 연구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계산인지과학적 접근방식은 컴퓨터과학의 계산적 방법을 적용하여 모델링을 하면서 모의실험을 하면서 인지의 작동과정을 밝히려고 하는 방법으로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연구를 예시로 볼 수 있습니다.
'Fun 심리학 > 유익한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 이론 7가지 상담기법, 체계적 둔감법 모델링 조형 토큰법 혐오기법 (0) | 2022.10.06 |
---|---|
개인심리학 8가지 상담기법, 스프에 침 뱉기 단추 누르기 알프레드 아들러 (0) | 2022.10.05 |
개인심리학 6가지 주요 개념, 알프레드 아들러 (Alfred Adler) 생활양식과 인생과제 (0) | 2022.10.04 |
개인심리학 알프레드 아들러 (Alfred Adler) 인간관과 열등감 콤플렉스 원인 (0) | 2022.10.04 |
정신분석이론 꿈의분석 전이 역전이 훈습, 프로이트 상담의 기술 7가지 (0) | 2022.10.04 |
정신분석이론 심리성적 발달단계 구강기 언제까지, 지그문트 프로이트 (0) | 2022.10.03 |
정신분석이론 불안의 유형과 11가지 방어기제, 지그문트 프로이트 (0) | 2022.10.03 |
정신분석이론 인간관과 의식수준,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0)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