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드만과 오하라의 진로발달이론
인간이 심리사회적 위기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자아가 성숙하며 직업에 대한 태도가 발달된다라고 생각한 타이드만 (Tiedeman)과 오하라 (O'Hara)는 진로발달단계를 인간이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자아정체감을 지속적으로 구별해 내고 발달과제를 처리하는 과정이라고 하였습니다.
자아정체감은 직업정체감 형성의 기초요인이 되며 분화와 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됩니다. 인지적 구조의 분화와 통합에 의한 의식적인 문제해결 행동이 의사결정과정이라고 보았으며 이 과정이 곧 직업정체감 형성과정이라고 하였습니다.
분화 (Differentiation)는 개인의 잠재력과 사회적 구조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여러 가지 직업을 구체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자아가 발달해 나가는 과정으로 개인의 인지적 구조발달에 따라 내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개인의 분리된 경험의 문제로 분화의 목적은 직업세계에서의 신뢰와 불신의 위기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통합 (Integration)은 한 인간이 직업세계의 일원이자 사회의 일원으로서 개인의 고유성과 직업의 고유성을 일치시켜 나가는 과정으로 확장된 경험을 모아 구조화하는 문제입니다. 자신과 직업세계의 고유성이 일치하게 되면 통합, 종합, 성공, 만족이 이루어집니다.
분화와 통합은 이론적으로는 분리되어 있지만 실제적인 경험에서는 분리되지 않으며 나이가 들고 다양한 경험이 쌓일수록 발달하게 됩니다. 새로운 경험이 생길수록 직업정체감은 발달하고 직업정체감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 곧 진로발달이며 에릭슨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기반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직업정체감 형성과정
예상기는 전직업기 (Preoccupation Period)라고도 불리며 정보를 수집하며 문제를 한정하고 여러 가지 대안들을 평가한 후 선택하는 과정으로 탐색기, 구체화기, 선택기, 명료화기로 구분합니다.
실천기는 적응기 (Adjustment Period)라고 하며 예상기에서 내렸던 잠정적 결정을 실천에 옮기는 과정으로 순응기, 개혁기, 통합기의 3가지 하위단계로 나누어집니다.
예상기 (Anticipation Period)
1. 탐색기 : 진로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이 그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상황적 여건은 갖추어져 있는지에 대해 예비평가를 해보며 대안을 탐색해 나가는 시기입니다.
2. 구체화기 : 자신의 가치관과 인생에 있어서의 목표, 직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보상이나 월급 등을 고려해 보면서 진로의 방향성을 구체화하는 시기입니다.
3. 선택기 : 내가 하고 싶은 일과 하기 싫은 일을 확실하게 구분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의사결정에 임하게 되는 시기입니다.
4. 명료화기 : 내가 내린 의사결정을 신중하게 분석하고 검토해 보며 결정을 내리는 시기입니다.
실천기 (Implementation Period)
1. 순응기 : 새로운 조직의 풍토에 적응하기 위해서 자신의 일면을 수정하거나 버리기도 하며 새로운 상황에서 인정받고 싶어 하는 시기입니다.
2. 개혁기 : 수용적인 자세로 새로운 상황에 적응한 후 인정을 받게 되면 자신의 의지를 조직 안에서 펼쳐 보이고 싶어 하는 시기입니다.
3. 통합기 : 자신의 욕구와 조직의 욕구를 균형 있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면서 타협과 통합을 이루어나가는 시기입니다.
하렌의 진로의사 결정유형
1. 합리적 유형
하렌은 개인이 처한 환경과 자신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논리적이고 신중하게 의사결정을 수행해 나가며 본인의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을 지는 사람을 합리적 유형으로 분류하였습니다.
2. 직관적 유형
합리적 유형과 마찬가지로 의사결정의 책임은 자신이 지고자 하지만 그 결정의 적절성을 본인만 내적으로 느낄 뿐 말로 설명하지 못하는 유형의 사람들을 직관적 유형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의사를 결정할 때 현재의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며 정서적 자각을 사용하고 상상을 통해 선택하기 때문에 어떤 선택을 할 때 비교적 빠르게 결정을 내리고 확신합니다.
3. 의존적 유형
의사결정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수동적이고 순종적으로 보이며 사회적 인정에 대한 욕구가 높은 사람들을 의존적 유형으로 분류하였습니다. 합리적, 직관적 유형의 사람들과는 달리 의사결정에 대한 본인의 책임을 부정하고 그 책임을 외부로 돌리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심리학] - 직업상담사2급 특성요인이론 장단점과 특징, 파슨스 윌리엄슨 브레이필드 달리
직업상담사2급 특성요인이론 장단점과 특징, 파슨스 윌리엄슨 브레이필드 달리
직업상담사 2급 특성요인 이론과 대표 학자 윌리암슨 (Williamson), 파슨스 (Parsons), 브레이필드 (Brayfield), 달리 (Darley)의 직업상담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특성요인 이론은 파슨
doremi-life.com
[심리학] - 정신분석이론 꿈의분석 전이 역전이 훈습, 프로이트 상담의 기술 7가지
정신분석이론 꿈의분석 전이 역전이 훈습, 프로이트 상담의 기술 7가지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 따른 상담의 기술 7가지 자유 연상, 꿈의분석, 전이의 분석, 저항의 분석, 해석, 통찰, 훈습 1. 자유연상 자유연상은 내담자의 마음속에 떠오르
doremi-life.com
'Fun 심리학 > 유익한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ttfredson 갓프레드슨의 제한 타협 이론과 진로포부 발달단계 (0) | 2023.02.08 |
---|---|
Ginzberg 긴즈버그의 진로발달 3단계, 환상기 잠정기 현실기 (0) | 2023.02.01 |
집단상담의 기초, 톨버트 (Tolbert)와 부처 (Butcher)의 집단직업상담 (0) | 2022.12.05 |
기즈버스 & 무어 상담기법 9가지와 진로상담 과정 (0) | 2022.12.01 |
직업상담사 2급 꼭 외워야 할 직업상담학 기초 이론과 실기 기출문제 예시 (0) | 2022.11.30 |
Crites 크라이티스 진단검사와 포괄적 직업상담 7가지 문제유형, 우유부단 다재다능 미적응형 비현실형 (0) | 2022.11.27 |
Bordin 보딘의 상담기법,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이론의 인간관과 변별진단 5가지 (0) | 2022.11.24 |
직업상담사2급 특성요인이론 장단점과 특징, 파슨스 윌리엄슨 브레이필드 달리 (0) | 202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