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의 기초
상담의 형태는 크게 개인상담, 집단상담, 사이버상담으로 분류됩니다. 집단상담은 일대일 개인상담이 어려운 경우나 집단으로 상담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 이루어지는데 한 번에 다수의 내담자를 대면하여 상담하기 때문에 시간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입니다.
전문적으로 훈련된 상담자가 구성원의 역동적인 상호교류를 이끌어내며 각자의 감정, 생각, 태도, 행동양식들은 탐색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쳐 보다 성숙된 수준으로 향상시켜 생활문제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성장 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일반적으로 6명에서 10명 사이를 적당한 크기로 보고있고 10명이 넘어가는 경우 두 사람이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담자가 동시에 여러 명이 내담자를 상담하기 때문에 사전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 책임의식이 있는 사람들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리더는 구성원들이 자신의 문제를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도록 집단상담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을 리더로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단상담의 규모가 너무 크면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폭넓은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지만 상담자가 각 개개인 모두에게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생기며 규모가 너무 작으면 집단상담의 장점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거나 구성원들이 심리적 부담을 느낄 수 도 있습니다.
집단상담은 목적에 따라 폐쇄적으로 할 것인지 개방적으로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폐쇄집단의 경우에는 중도 탈락자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다른 구성원을 받아들이지 말아야 합니다. 또 성별, 연령, 성숙도, 과거 배경 등을 고려하여 동질집단으로 구성할 것인지 이질집단으로 구성할 것인지 결정하는데 어느 집단이 더 효과적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보통 1회인 경우 한 시간~한 시간 반 정도를 적당한 시간으로 보고 2주에 한 번인 경우에는 2시간 정도 상담을 진행합니다. 모임의 횟수가 너무 많으면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상담을 하기 어렵고 참여도도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최소화 하여 진행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신체적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정도의 장소가 적당합니다.
집단상담은 한 명의 전문가가 동시에 많은 내담자를 도울 수 있고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구성원이 자신의 문제를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개개인 모두가 만족을 느끼기는 어렵고 특정 개인의 문제가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집단의 압력이 행사되어 개인의 개성이 상실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집단상담의 형태
1. 구조화 집단 (Structured Group) : 집단상담자가 정해진 계획과 절차에 따라 진행하는 형태로 미리 설정한 특정 주제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활동으로 구성합니다.
2. 비구조화 집단 (Unstructured Group) : 내담자 개개인의 경험과 관심을 토대로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치료적 효과를 얻고자 하는 형태로 사전에 활동을 정해놓지 않습니다.
3. 반구조화 집단 (Semi-Structured Group) : 구조화 집단과 비구조화 집단을 혼합한 형태로 비구조화 집단의 형태를 토대로 운영하며 필요할 때마다 구조화 집단에서 활용하는 활동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진행합니다.
4. 가이던스 집단, 교육집단, 지도 집단 (Guidance Group) : 집단의 방향이나 진행 내용 등이 사전에 계획적으로 구조화된 상담 형태로 상담자에 의한 강의나 교수 등이 활용되며 내담자 개개인의 요구나 관심사에 따라 교육적, 사회적, 직업적 정보들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하는 형태입니다.
5. 참만남 집단 (Encounter Group) : 타인과의 교류 능력을 증진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지금-여기' 경험을 통해 자유로운 대화를 전개하며 다른 사람과의 의미 있는 만남을 통해 인간관계와 인간 실존에 대해 지각할 수 있도록 돕는 상담 형태입니다.
톨버트 (Tolbert)의 집단직업상담 과정
자기 탐색
→ 상호작용
→ 개인적 정보의 검토 및 목표와의 연결
→ 직업적, 교육적 정보획득 및 검토
→ 의사결정
부처 (Butcher)의 집단직업상담 단계
1단계 : 탐색단계
내담자의 자기 개방, 흥미와 적성에 대한 측정, 측정 결과에 따른 피드백과 불일치의 해결 등이 이루어지는 단계입니다.
2단계 : 전환 단계
자아상과 피드백 간의 일치가 이루어지면 내담자들은 자기 지식을 직업세계와 연결하고 일과 삶의 가치를 조사하며 가치 명료화를 위해 자신의 가치와 피드백 간의 불일치를 또다시 해결해나가는 단계입니다.
3단계 : 행동단계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행동으로 옮기는 행동단계로 목표 설정, 행동계획 개발, 목표 달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자원 탐색 및 정보수집과 공유,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입니다.
[심리학] - 직업상담사2급 특성요인이론 장단점과 특징, 파슨스 윌리엄슨 브레이필드 달리
직업상담사2급 특성요인이론 장단점과 특징, 파슨스 윌리엄슨 브레이필드 달리
직업상담사 2급 특성요인 이론과 대표 학자 윌리암슨 (Williamson), 파슨스 (Parsons), 브레이필드 (Brayfield), 달리 (Darley)의 직업상담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특성요인 이론은 파슨
doremi-life.com
'Fun 심리학 > 유익한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드만과 오하라의 진로발달이론 예상기 실천기, 하렌의 진로의사결정유형 (0) | 2023.02.10 |
---|---|
Gottfredson 갓프레드슨의 제한 타협 이론과 진로포부 발달단계 (0) | 2023.02.08 |
Ginzberg 긴즈버그의 진로발달 3단계, 환상기 잠정기 현실기 (0) | 2023.02.01 |
기즈버스 & 무어 상담기법 9가지와 진로상담 과정 (0) | 2022.12.01 |
직업상담사 2급 꼭 외워야 할 직업상담학 기초 이론과 실기 기출문제 예시 (0) | 2022.11.30 |
Crites 크라이티스 진단검사와 포괄적 직업상담 7가지 문제유형, 우유부단 다재다능 미적응형 비현실형 (0) | 2022.11.27 |
Bordin 보딘의 상담기법,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이론의 인간관과 변별진단 5가지 (0) | 2022.11.24 |
직업상담사2급 특성요인이론 장단점과 특징, 파슨스 윌리엄슨 브레이필드 달리 (0) | 202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