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un 심리학/유익한 심리학

Gottfredson 갓프레드슨의 제한 타협 이론과 진로포부 발달단계

by 레미 언니 2023. 2. 8.
728x90
반응형

진로포부 발달단계

제1단계 (3세~5세) : 서열 획득 단계, 힘과 크기 지향성

 

이 시기의 아이들은 사고과정이 구체화되기 시작하면서 어른이 된다는 의미를 알게 됩니다.

 

직관적인 사고과정을 보이며 서열의 개념도 획득합니다. 힘이 세다, 크기가 크다 등의 서열개념이 직업과 관련된 영역에도 적용되어 나보다 힘이 센 어른들만 일이라는 것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어른이 되면 일을 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해서 직업을 갖는 것에 대한 선망을 갖기도 하며 주로 어른들의 역할을 흉내 내고, 직업을 갖는다는 것을 성인의 역할로 인식하는 시기입니다.

 

 

제2단계 (6세~8세) : 성역할 획득 단계, 성역할 지향성

 

나는 여자다, 나는 남자다라고 하는 이분법적 정체감을 형성하는 시기로 남녀의 직업이 서로 다름을 구분하게 됩니다. 

 

내가 누구인가 (self)에 대한 자아 개념이 생기지만 성(性)적 발달에 의해 영향을 받아 자신과 동일한 성별의 사람들이 주로 수행하고 있는 직업들에 대해 관심을 보입니다.

 

자신의 성과 일치하는 직업들을 선호하는 시기입니다. 

 

제3단계 (9세~13세) : 사회적 가치 획득 단계, 사회적 가치 지향성

 

사회적 명성이나 능력, 사회계층에 대한 개념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원하고 갖고 싶어 하는 사회적 가치가 있고, 모두가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경쟁에서 이길 능력이 되어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시기입니다.

 

타인이 아닌 자아를 인식하게 되고 자신의 능력을 기준으로 적합한 직업군을 탐색하며 추구하는 사회적 지위와 일치하는 직업을 선호하고  맞지 않는 직업은 배제합니다. 

 

제4단계 (14세 이후) : 내적 자아 확립 단계, 내적 고유한 자아지향성

 

타인에 대한 개념이 생기고 내적 사고를 통하여 자아인식이 발달되어 자신만의 독특한 자의식을 발달시키는 시기입니다. 

 

자아성찰과 사회계층의 맥락에서 직업적 포부가 더욱 발달하여 자신의 흥미, 능력, 성격이나 가치관 등과 맞지 않는 직업을 배제시킵니다. 

 

선호하는 직업이 하나로 줄어들지 않고 여러 가지가 있는 경우 나와 잘 맞고 어울린다고 생각되는 직업, 즉 흥미에 맞는 직업세계를 추구합니다. 

 

 

직업포부 발달이론

 

내가 직업을 선택할 때 또는 어떤 직업을 가졌다고 상상할 때 내 마음속에 품고 있는 계획이나 희망을 직업포부(Occupation Aspiration) 또는 진로포부라고 합니다. 고드프레드슨이 제시한 이론의 주요 주제이며 개인이 특정 시점에서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희망직업을 의미합니다. 

 

고트프레드슨은 인간은 누구나 자아 이미지에 맞는 직업을 갖고 싶어 하기 때문에 진로발달과정에서 자아개념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자신의 자아개념과 일치하는 직업에 대해 포부를 형성한다고 하였습니다.

 

직업선택과정은 제한과 타협을 통해 직업포부가 변화하는 과정으로 지능 수준, 성 유형, 사회적 배경과 경제적 배경이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습니다. 

 

사람이 특정 직업에 매력을 느끼게 되는 과정을 기술하고 있는 직업포부이론은 크게 보면 진로발달 이론의 범주에 속합니다. 

 

 

제한타협이론

 

갓프레드슨은 어릴 때부터 성별, 인종이나 사회계층별로 직업포부가 차이가 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제한타협이론을 제시하였고 제한과 타협, 축소와 조정을 통해 직업포부가 변화하며 자신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직업의 수를 줄여나가는 과정이 진로발달과정, 직업선택과정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사람은 진로장벽에 부딪혔을 때 자신의 포부를 제한하고 의사결정 시 타협을 한다고 하였습니다. 

 

제한 (Circumscription)

 

제한, 한계, 축소는 자아개념과 일치하지 않는 직업들을 스스로 배제하는 과정으로 자아개념의 발달단계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아동기에는 자신의 성별과 맞지 않는 직업을 가장 먼저 제외하며 자라나면서 자신이 도달할 수 있는 사회적 지위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설정합니다. 그 이후 자신의 흥미와 능력에 맞추어 직업 포부를 축소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진로포부 발달이론에서 제한이란 결국 본인이 스스로 싫어서 배제하고 포기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며 자아개념과 맞지 않는 직업을 제한하는 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놓은 것이 직업포부 발달의 4단계 입니다. 

 

타협 (Compromise) 

 

타협, 절충, 조정은 본인이 배제하고 남은 직업들, 즉 제한하는 과정을 통해 선택된 선호하는 직업대안들 중에서 내가 극복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진 직업을 어쩔 수 없이 포기하는 것을 말합니다. 

 

직업선택 시 타협과정에서 선호 직업들을 불가피하게 포기하는 경우 흥미 >> 사회적 지위 (권위) >> 성 유형의 순서로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대안을 버려나갑니다. 

 

위 세 가지 중 어느 하나를 꼭 포기할 수밖에 없다면 개인의 흥미를 가장 쉽게 포기하게 되며 흥미 있는 직업을 포기했는데도 여전히 직업선택이 어려운 경우 사회적 지위를 포기합니다. 

 

직업선택 시 먹고사는 문제가 걸리게 되면 제일 먼저 흥미는 고려하지 못하게 되고 사회적 지위나 권위도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성별에 따른 남녀의 직업유형도 상관없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타협은 내가 바라던 최고의 직업을 선택하지 못하고 현실적으로 가능한 선택을 하면서,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것들을 받아들이는 과정으로 타협의 불가피성을 수용하고 내가 선택한 직업에서 요구하는 바와 맞게 나의 진로기대를 변화시켜 나가도록 돕습니다. 

 

[심리학] - Crites 크라이티스 진단검사와 포괄적 직업상담 7가지 문제유형, 우유부단 다재다능 미적응형 비현실형

 

Crites 크라이티스 진단검사와 포괄적 직업상담 7가지 문제유형, 우유부단 다재다능 미적응형 비

크라이티스 (Crites)의 포괄적 직업상담은 기존에 있던 직업상담이론인 특성요인 이론, 내담자 중심 상담, 정신역동적 상담, 발달적 상담, 행동주의 직업상담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통합시켜

doremi-life.com

 

[심리학] - 정신분석이론 심리성적 발달단계 구강기 언제까지,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심리성적 발달단계 구강기 언제까지, 지그문트 프로이트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의 정신분석이론, 심리성적 발달단계 구강기 >> 항문기 >> 남근기 >> 잠복기 >> 생식기(성기기) 프로이트는 아기와 부모가 상호작용을 하는 주된 신체기관인 입과 항

doremi-life.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