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un 심리학/유익한 심리학

Ginzberg 긴즈버그의 진로발달 3단계, 환상기 잠정기 현실기

by 레미 언니 2023. 2. 1.
728x90
반응형

긴즈버그의 진로발달단계

 

긴즈버그의 진로발달 단계는 '발달적 입장'을 제시한 최초의 직업선택 이론입니다. 한 인간이 진로를 선택하는 행동은 일회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린 시절부터 오랜 기간에 걸쳐 일어나는 발달 과정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긴즈버그에 따르면 개인의 진로발달은 일시적인 한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단일결정이 아니고 사람의 신체와 정신이 발달하는 것처럼 직업에 대한 지식과 태도도 어려서부터 발달하기 시작해서 장기간동안 일련의 단계를 거치며 발달합니다. 

 

환상기 → 잠정기 → 현실기

 

직업선택은 자신의 가치관, 정서적 요인, 교육의 종류와 양, 환경의 영향 등의 상호작용으로 결정되며 개인의 욕구, 능력, 흥미, 가치관과 같은 내적요인과 부모의 영향, 가정환경, 직업 조건 등의 외적요인 간의 타협입니다.

 

즉, 개인의 바람 (wishes)과 가능성 (possibility) 간의 타협을 통해 직업을 선택하며 이 타협 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발달합니다. 

 

직업을 선택할 때 자신의 직업정체감을 구체화하고 직업기회를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을 거쳐 일정 기간 동안 발달한다고 고려하기 시작한 본격적인 이론입니다. 

 

진로발달 3단계

1단계 : 환상기 (6세~11세)

 

이 시기의 아동은 미래 직업에 대해 상상을 통해 생각하며 비현실적인 선택을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신의 능력이나 현실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원하는 직업이면 무엇이든 하고 싶고 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의 욕구에 따라 직업을 선택하려 합니다. 

 

놀이가 중심이 되는 초기 단계를 지나면 놀이가 일 중심으로 변화되기 시작하는 후기 단계가 나타납니다.

 

2단계 : 잠정기 (11세~18세)

 

이 시기의 아동과 청소년은 자신의 흥미나 능력, 가치에 따라 직업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현실 상황은 여전히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비현실적인 직업선택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흥미로 시작하지만 직업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점차적으로 인식하고 본인의 능력을 테스트해보거나 가치관에 맞는지 평가해 보며 현실적으로도 가능한지 외적요인으로 관심이 전환됩니다. 

 

1) 흥미 단계 (Interest Stage) : 흥미와 취미에 따라 선택하려고 한다.

 

2) 능력 단계 (Capacity Stage) : 흥미를 느끼는 직업분야에서 성공 가능성이 있는지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 보기 시작하며 직업의 다양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3) 가치 단계 (Value Stage) : 나의 가치관이나 생애목표 등에 이 직업이 부합되는지 평가해 보며 직업을 선택할 때다양한 요인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4) 전환 단계 (Transition Stage) : 흥미, 취미, 가치관과 같은 자신의 내적요인에서 현실적인 외적요인으로 관심이 전환되며 직업선택 시 외적요인이 주요인이 된다. 

 

3단계 : 현실기 (18세~20대 초반)

 

이 시기의 청소년과 성인은 직업에서 요구하는 조건과 자신의 개인적 요구와 능력이 부합하는지 고려하여 현명한 선택을 하려고 합니다. 또한 자신의 흥미와 능력을 통합하여 직업을 선택하는 시기입니다. 

 

1) 탐색 단계 (Exploration Stage) : 직업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해보며 취업의 기회와 경험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단계입니다. 

 

2) 구체화 단계 (Crystallization Stage) :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자신의 직업목표를 구체화하고 특정 직업 분야에 몰두하는 단계입니다. 개인의 바람과 가능성 간의 타협이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3) 특수화 단계 (Specialization Stage) : 자신의 결정을 구체화하고 세밀한 계획을 세우며 고도로 세분화, 전문화된 의사결정을 하는 단계로 정교화 단계라고도 합니다. 

 

[심리학] - 직업상담사2급 특성요인이론 장단점과 특징, 파슨스 윌리엄슨 브레이필드 달리

 

직업상담사2급 특성요인이론 장단점과 특징, 파슨스 윌리엄슨 브레이필드 달리

직업상담사 2급 특성요인 이론과 대표 학자 윌리암슨 (Williamson), 파슨스 (Parsons), 브레이필드 (Brayfield), 달리 (Darley)의 직업상담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특성요인 이론은 파슨

doremi-life.com

 

[심리학] - Bordin 보딘의 상담기법,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이론의 인간관과 변별진단 5가지

 

Bordin 보딘의 상담기법,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이론의 인간관과 변별진단 5가지

특성요인 이론의 장점 + 내담자 중심 상담의 장점 =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보딘 (Bordin)의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이론 특성요인이론은 명확하고 직관적인 상담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담사

doremi-life.com

728x90
반응형

댓글